산업자원부는 `1차관보 3실 14국 61과'의 조직을 전면 개편해 9일부터 `8본부ㆍ10관ㆍ61팀' 체제로 전환한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지난 1993년 상공부와 동자부 통합 이후 최대 규모로, 산업ㆍ자원정책 여건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고객지향 및 성과중심의 책임행정 체제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라고 산자부는 설명했다. 8본부는 △정책홍보관리 △산업정책 △기간제조산업 △미래생활산업 △무역투자정책 △에너지자원정책 △에너지산업 △에너지자원개발본부로 구성된다. 산업부문에서는 `차관보'를 `산업정책본부장'으로 전환해 산업정책ㆍ산업기술정책ㆍ지역산업균형발전정책을 담당토록 하고, 대ㆍ중소기업 상생협력을 전담할 `상생협력팀'을 신설했다. 산업별 조직은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춰 부품소재ㆍ섬유ㆍ자동차ㆍ조선ㆍ철강ㆍ석유화학ㆍ기계를 기간제조산업본부에 두고, 바이오ㆍ나노ㆍ디지털전자ㆍ반도체ㆍ유통ㆍ기업지원서비스ㆍ디자인을 미래생활산업본부에 배치했다.
무역투자부문은 1급 본부장이 무역정책ㆍ투자유치정책ㆍFTA정책을 직접 관장하고, 산하에 무역투자진흥관 및 통상협력기획관을 둬 무역ㆍ투자 진흥 및 양자ㆍ다자 통상협력업무를 담당토록 했다. 에너지ㆍ자원 부문에서는 방폐장건설, 원전산업 및 에너지환경 업무를 에너지자원정책본부장이 직접 관장하되 에너지정책기획관을 산하에 두고, 에너지원별 조직은 에너지산업본부로 독립시켰다.
아울러 원전사업기획단을 폐지한 대신 고유가 시대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에너지자원개발본부를 설치, 자원개발 및 신ㆍ재생에너지 업무의 추진 역량을 강화했다.
기술표준원은 기술표준ㆍ제품안전ㆍ외국의 비관세장벽 대응기능을 강화하고, 단순 집행기능인 시험분석 업무는 폐지해 민간에 이양토록 했다. 이에 따라 기표원은 현행 4부 21과 1팀에서 4부 22팀으로 개편된다.
산자부는 특히, 이번 조직개편과 함께 위임 전결 규정을 정비해 권한을 과감히 하부에 위임, 의사결정구조를 `팀원→팀장→본부장ㆍ관'의 3단계로 간소화하고, 본부장 및 팀장 중심의 책임행정체제를 갖추기로 했다. 이와 함께 조직개편에 따른 승진 및 전보 인사도 곧 실시할 예정이다
김종갑 차관은 "개편 이전의 장ㆍ차관 전결 비중이 13.7%에서 개편 이후에는 5%로 줄어드는 대신 앞으로는 팀장의 전결비중이 85%로 확대될 것"이라며 "공정하고 철저한 성과평가 및 보상체계도 시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디지털타임즈 2006.6.9)